콘텐츠로 건너뛰기
Home » 스터디 » Page 3

스터디

오일러 프로젝트 85

균일한 격자 내에서 만들 수 있는 직사각형의 개수에 관한 문제이다. 눈금의 크기가 1인 격자에서 가로, 세로를 정했을 때 그 속에서 만들 수 있는 직사각형의 개수가 2백만개에 가장 근접할 때의 가로/세로를 구하는 것이다. 격자의 가로 크기를 x, 세로 크기를 y라 했을 때 그 내부에 존재하는 직사각형들의 가로 크기는 1, 2, 3, … x 이고 세로 크기도 1, 2, 3, … y 가 된다. 가로가 a 일 때 이 폭으로 x 에 들어갈 수 이는 경우는 (x + 1 – a) 개… 더 보기 »오일러 프로젝트 85

matplotlib의 기본 사용법 및 다른 시각화 라이브러리

오늘은 파이썬의 시각화 부분에서 가장 널리 쓰이고 있는 matplotlib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matplotlib을 사용할 때 주로 서브패키지인 pyplot을 사용한다. pyplot은 MATLAB의 인터페이스와 유사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하여 MATLAB을 사용하는 사용자층이 쉽게 matplotlib으로 옮겨오도록 하고 있다. 문제는 MATLAB의 인터페이스가 그모양이어서 그런지 모르겠는데, matplotlib의 인터페이스가 일관성도 없는 편이고 그다지 객체지향적이지도 않아서 사실상 API 문서만으로도 사용이 어렵고 관련 예제를 보면서 코드를 따라써야 하는 수준으로 처리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더 보기 »matplotlib의 기본 사용법 및 다른 시각화 라이브러리

파이썬으로 이진 탐색 구현하기

이진 탐색(binary search)은 정렬된 데이터에서 특정한 값을 아주 빠르게 찾는 방법이다. N개의 데이터 중에서 특정한 값 x를 찾을 때, 최악의 경우 N번의 비교가 필요한데, 이진 탐색의 경우 최대 log_{2}N만큼의 비교를 하게 된다. 즉 자료의 크기가 클수록 선형 탐색에 비해 성능이 매우 우수해진다. 다만 이진 탐색은 자료가 정렬되어 있다는 전제가 필요하다. (이 때문에 컴퓨터 과학에서는 정렬이 매우 중요하고, 성능이 좋은 정렬 알고리듬을 만들기 위해 많은 노력이 있어왔다.)

더 보기 »파이썬으로 이진 탐색 구현하기

생일 문제

30명의 사람이 있을 때, 이 중 생일 같은 사람이 최소 2명 있을 확률을 구하고 싶다. 어떻게 계산할 수 있을까? 이러한 문제를 생일 문제라 한다. 흥미로운 점은 생일 문제가 우리의 직관을 비웃는 것 같은 결과를 보인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당신이 누군가를 만났다고 하자. 그 사람이 당신과 생일이 같을 확률은 얼마일까? 당신의 생일이 정해져 있으므로 그 사람의 생일은 365일 중 같은 날인 하루여야 한다. 이 때의 확률은 1/365로 약 0.274% 밖에 안된다. 이처럼 1년의 날 수가 365일이나 되기 때문에 생일이 같아질 확률이 매우 작아 보인다.

더 보기 »생일 문제

표현식이 무엇인지 알아보자

오늘은 표현식에 대해서 좀 이야기해볼까 한다. 표현식(Expressioin)은 너무 직역한 단어라 좀 이상한 감이 없잖아 있는데, 딱히 대체할만한 말이 떠오르지 않는다. 영어권에서는 표현식 대신에 평가식이라는 말도 사용한다. 필수적이거나 중요한 개념은 아닌데, 프로그래밍 언어 가이드를 보다보면 자주 등장하는 용어이고, 알고 있다면 학습에 도움이 될 수는 있겠다 싶다.

더 보기 »표현식이 무엇인지 알아보자

수퍼마켓 계산줄

https://www.codewars.com/kata/57b06f90e298a7b53d000a86

수퍼마켓의 계산 줄을 처리하는데 소요되는 전체 시간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한다.

요건

문제의 입력으로는 정수 리스트와 정수값 하나가 제시된다. 리스트는 고객을 의미하며, 다른 정수값은 계산대의 개수이다. 리스트 내의 각 정수값은 개별 고객으로 각 고객이 계산을 마치는데 필요한 시간을 정의한다.

규칙

  • 빈 계산대가 없으면 나머지 손님은 모두 기다려야 한다.
  • 빈 계산대가 나타나면 계산줄을 무조건 앞에서부터 처리된다.
  • 모든 손님이 계산대 통과를 완료해야 한다.
더 보기 »수퍼마켓 계산줄

코코아바인딩에서 집합 타입의 프로퍼티를 연결할 때 유의할 점

코코아 바인딩을 사용할 때 특정한 키 이름이 변경가능한 배열(NSMutableArray)일 때, UI를 통해 값을 추가/제거하거나 변경한다 하더라도 이러한 변경이 원래 데이터에 반영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원문 : 코코아 바인딩 문제해결(Troubleshooting Cocoa Bindings)
https://developer.apple.com/library/content/documentation/Cocoa/Conceptual/CocoaBindings/Concepts/Troubleshooting.html

집합 컨트롤러가 현재 데이터를 표시하지 않아요.

“이러한 문제는 보통 여러분의 애플리케이션이 집합 콘텐츠를 키-밸류 옵저빙 호환 방식으로 데이터를 변경하지 않기 때문에 일어납니다. 배열을 addObject:removeObject: 로 제거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합니다.”

더 보기 »코코아바인딩에서 집합 타입의 프로퍼티를 연결할 때 유의할 점

핵공습 – Alphabet War

https://bit.ly/353Y8ML

알파벳소문자들과 대괄호([, ]), 샵기호(#)로 구성되는 문자열을 입력받아 생존하는 문자들을 리턴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한다.

규칙

인자로 문자열 battlefield가 주어진다. 이 문자열은 전장의 상황을 묘사하고 있다.

  • 문자열은 영어 소문자와 대괄호, 샵으로만 구성된다.
  • 각 문자열은 1명의 사람을 표현한다, 샵 문자는 핵폭탄을 표현한다.
  • 대괄호로 둘러싸인 부분은 방공호를 의미한다.

공습이 시작되면 모든 핵폭탄이 일제히 폭파한다. 누가 살아남을 수 있을까?

  • 핵폭탄이 폭발하는 경우, 방공호 외부의 인원은 모두 사망한다.
  • 방공호는 핵폭탄 1개의 위력만 견딜 수 있다. 인접한 지형에서 핵폭탄이 2개 이상 터지만 방공호 내부의 인원도 모두 사망한다.
  • “인접한”이란 방공호와 연결된 땅이다. 방공호는 그와 인접한 다른 방공호들 너머의 핵폭탄에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가정한다.

예시

abc[def]ghj : abcdefghj (폭탄이 없으므로 모두 살아남는다)
a#c[def]ghj : def  (폭탄이 1개이므로 외부 인원은 모두 사망한다)
a#c[def]g#j[mno]pqr (_#_[def]_#_ 왼쪽 방공호는 좌우 하나씩, 총 2개의 폭탄으로 인해 파괴된다)
더 보기 »핵공습 – Alphabet War

[Python] 클래스 이해하기

클래스를 설명할 때 흔히 쓰는 표현은 ‘클래스는 거푸집에 해당하고 객체는 그 거푸집으로 찍어내는 벽돌에 해당한다.’는 것이다. 물론 완전히 틀린 설명은 아닌데, 이 개념에서 출발해서 클래스를 이해하는 것은 객체와 클래스의 관계와 클래스를 어떻게 다룰 것인지 등 여러 관점을 정립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유발한다.

이 글은 파이썬 초보자들이 클래스에 대해 접근하고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작성됐다.

모든 것은 객체이다.

파이썬에서 통용되는 가장 중요한 대전제는 모든 것이 객체라는 것이다. 1, 2와 같은 숫자값도 C처럼 원시값이 아니라 int 타입의 객체이다. 함수 역시 객체이고 모듈이나 패키지도 객체처럼 취급된다. 모든 것이 객체라면, 클래스 그 자체도 객체라는 말이된다. 그럼 이 시점에서 다시 한 번 되물어보자. 도대체 객체란 무엇인가?

더 보기 »[Python] 클래스 이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