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건너뛰기
Home » 21세기소년 » Page 3

21세기소년

21세기소년 / IT / 정보기술 / 인터넷 / 프로그래밍 / 미래 / 과학 / 과학지식 / 물리 / 화학 / 천문 / 생물학 / 이과생이나 관심가질 법한 자질구레한 이야기들

cocnvim rename 이 작동하지 않을때

cocnvim + jedi-language-server 조합을 사용중인데, 언제부터인가 rename 기능이 작동을 안하기 시작했다. 같은 버전의 cocnvim을 설치했을 때, nvim에서는 잘 되고, vim에서는 PC에 따라서 되는 것도 있고 안되는 것도 있고 원인을 찾을 수가 없었다. (심지어 같은 소스로 빌드한 vim에서도 같은 cocnvim 버전, 같은 nodejs 버전에서도 결과는 모두 달랐다. 또 대상 파일의 언어에 무관하게 재현되는 문제이다.) 일단 임시 방편으로 cocnvim 설정에서 coc.preferences.promptInput 값을 false로 두면 이름 변경할 때 팝업창이 아닌 명령줄에서 이름을 입력하도록 바뀌는데, 이렇게 설정을 바꿔둔 경우에는 테스트 해 본 모든 환경에서… 더 보기 »cocnvim rename 이 작동하지 않을때

vim에서 터미널로 코드를 실행하기

vim에서 파이썬이나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작성하고 바로 실행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python % 과 같이 외부 명령을 바로 호출하는 것이다. 이 경우 vim은 잠시 숨겨지고 해당 명령을 실행하는 상태로 화면이 전환된다.

보다 IDE와 비슷한 느낌(느낌 알잖아요…)이 중요하다면 vim내에서 창을 나누고 그 창에서 실행 결과를 보는 방법이 있다. vim8에서 도입된 job 기능을 사용하여 백그라운드에서 해당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그 결과를 새 버퍼로 받아서 보여주는 방법도 있고, 또 아예 :term 명령으로 해당 파일을 여는 방법도 있다.

더 보기 »vim에서 터미널로 코드를 실행하기

matplotlib의 기본 사용법 및 다른 시각화 라이브러리

오늘은 파이썬의 시각화 부분에서 가장 널리 쓰이고 있는 matplotlib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matplotlib을 사용할 때 주로 서브패키지인 pyplot을 사용한다. pyplot은 MATLAB의 인터페이스와 유사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하여 MATLAB을 사용하는 사용자층이 쉽게 matplotlib으로 옮겨오도록 하고 있다. 문제는 MATLAB의 인터페이스가 그모양이어서 그런지 모르겠는데, matplotlib의 인터페이스가 일관성도 없는 편이고 그다지 객체지향적이지도 않아서 사실상 API 문서만으로도 사용이 어렵고 관련 예제를 보면서 코드를 따라써야 하는 수준으로 처리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더 보기 »matplotlib의 기본 사용법 및 다른 시각화 라이브러리

(Python) 그 날짜가 몇 주째인지 계산하기

특정한 년,월,일을 입력 받았을 때 그 날짜가 해당 월의 몇 째 주에 속하는지를 알려주는 함수를 작성해보자. 예를 들어 2020년 4월 27일 월요일은 4월의 5주차에 해당하는 날이다. 2020년 5월 15일은 2주차에 해당하는 날이다. 27, 15일은 각각 7로 나누는 것만으로도 3주나 차이가 나는데, 정확한 계산방법은 무엇일까?

더 보기 »(Python) 그 날짜가 몇 주째인지 계산하기

(Vim) 필요없는 공백제거하기

왠만한 편집기들은 파일을 저장하기 전에 각 라인의 뒤에 들어있는 쓸데없는 공백들을 제거해주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trailing space들의 해악에 대해서는 따로 말할 필요가 없을 것 같다.) 물론 vim에서도 이걸 사용할 수 있다. :s 명령을 사용하면 각 줄에서 맨 뒤쪽 공백을 제거할 수 있다.

:%s/\s\+$//

간단히 설명하면 이 명령은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더 보기 »(Vim) 필요없는 공백제거하기

VIM 입력모드에서 자동완성 사용하기

vim은 사실 기본적으로 현재 버퍼에 입력된 키워드를 기반으로 자동완성을 제공한다. 다만 그게 <Tab> 키가 아닐 뿐이다. 어떤 내용이든 입력하는 사이에, 입력모드에서 <C-n>을 입력해보자. (Ctrl + N) 그러면 커서 왼쪽의 단어의 일부로 시작하는 현재 버퍼 내의 키워드들로 자동완성이 시작된다. (후보가 2개 이상이면 팝업으로 표시된다.)

이렇게 자동완성 모드가 시작되면 <C-n>은 다음 후보로 진행하며, 이전 후보로 진행하는 것은 <C-p>이다.

이 자동완성 후보 목록은 'complete' 옵션에서 정할 수 있는데, 이 옵션은 콤마로 연결되는 문자들의 목록이고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갖는다. 생각보다 엄청많고 별도의 설명이 또 필요할 것 같지만.. 여기서는 생략한다. 기본적으로 이 값은 . u b t i로 정해진다.

더 보기 »VIM 입력모드에서 자동완성 사용하기

Vim – 레지스터에 관해

Vim에서 문자열을 복사하는 동작을 지칭할 때 흔히 copy라는 단어 대신에 yank라는 단어를 사용한다. vim의 전신인 vi가 개발되던 때에는 OS의 사용환경이 터미널이었으며, 이 때에는 클립보드라는 개념이 없었기 때문에, 어떤 데이터를 임시로 복사했다가 다른 곳에 옮기는 것은 응용 프로그램이 사용하는 메모리의 특정 영역을 사용했고, 이 당시에는 ‘copy’라는 단어는 복사본을 만드는 것이지 지금처럼 클립보드에 데이터를 넣어두는 개념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Vim은 내부에서 임시로 복사해두는 메모리 영역을 하나가 아니라 여러 개를 사용하며, 이는 CPU의 기억장치와 같이 “레지스터”라는 이름으로 부른다. 이 레지스터들은 알파벳이름과 숫자 그리고 몇 가지 기호로 이름이 붙은 여러 개가 존재하는데, 보통 알파벳 이름의 레지스터는 사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있으며, 숫자와 기호로 이름이 붙은 레지스터들은 특정한 동작이 발생할 때 변경된 데이터가 자동으로 임시로 보관되는 영역으로 사용된다.

더 보기 »Vim – 레지스터에 관해

열려진 모든 파일에서 문자열 찾기 – Vim

:bufdo 명령

:bufdo는 버퍼 리스트의 모든 버퍼에 대해서 동일한 명령을 반복 수행하는 기능으로, 찾기/바꾸기 외에도 어떤 명령이든 여러 파일에 대해서 한꺼번에 적용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참고로 :silent 처럼 문자열이 아닌 일반 명령 시퀀스가 뒤에 오게 된다. 예를 들어 vim에서 열어놓은 모든 버퍼에서 ‘sample’ 이라는 단어를 ‘fixed’라고 변경하려면, 모든 버퍼를 일일이 옮겨다닐 필요 없이 다음과 같이 :bufdo %s/sample/fixed/g를 실행하면 된다.

이와 비슷하게 모든 창에 대해서 동일한 명령을 반복하거나, 탭 단위로 반복할 수 있다. :windo 명령은 모든 창에 대해서 적용되며, (따라서 창에서 보이지 않는 버퍼에 대해서는 실행되지 않는다.) :tabdo 은 모든 탭에서 실행된다.

더 보기 »열려진 모든 파일에서 문자열 찾기 – Vim

컬러스킴을 전환하기

vim에서 컬러 스킴을 변경하고 싶을 때에 :colorscheme 명령을 사용한다. (줄여서 :color로 쓸 수 있다.) 이 명령으로 컬러 스킴을 변경할 때에는 테마 이름을 알아야 하는데, 사실 몰라도 상관없다. :color<space> 한 후에 탭 키를 누르면 테마 이름은 자동완성되기 때문이다. 근데 이것보다도 키 하나만 눌러서 다른 테마로 적용되는 것을 보면서 전환하도록 하는 것이 더 편리할 것 같다. 이 기능을 vim 안에서 어떻게 만들면 좋을지 알아보자.

더 보기 »컬러스킴을 전환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