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뉴스 – 김희정 KISA 원장 “공인인증서가 가장 안전”
기사 내용의 일부를 요약/인용하는 것이 저작권을 얼마나 침해하는 지는 모르기도 하고, 역시 좀 귀찮기도 해서 그냥 위의 저 기사를 한 번 읽고 오시기를 권합니다.
KISA가 예전부터 참 어이없는 말을 많이 뿜어대던 곳이라, 그저 그려려니 하고 넘어가려 했는데 지난 3월 25일 있었던 공인인증서 관련 토론회도 그렇고 이번 김원장님의 어이없는 발언 문제도 그렇고 뭐랄까 KISA에서 일하시는 분들께는 죄송하지만, 그래도 그 내부에서 영향력 있다는 분들에 한해서는 보안에 대한 개념 자체가 없는 것은 아닐까하는 의구심마저 들어서 하는 이야기입니다. 사실, 국민의 권익을 보호해야할 의무가 있는 단체에서 아무런 근거도 없는 주장을 어떤 이유에서 펼치는지 그게 너무나 궁금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얼마전 KISA 김희정 원장님이 언론을 통해 한 이야기에 대해 몇 가지 반문을 제기하고자 합니다. 본 포스팅은 김희정 원장님이 직접 운영하시는 것으로 보이는 네이버 블로그에 트랙백을 걸고 트위터로도 연락 드리겠습니다. 하고 싶은 이야기가 많지만, 부연 설명을 덧붙이는 것은 쓰는 것도 읽는 것도 시간 낭비 일 것 같아서 본론으로 들어가겠습니다. 질문은 주제에 따라 대분류와 소분류로 나누겠습니다. 부디 작은 분류의 질문에 먼저 답하시고 다음 상위 분류의 질문의 답으로 정리하여 답변 주셨으면 합니다.
1. 부인 방지가 무엇입니까?
1) 원장님은 기사에서 “부인 방지는 은행 거래를 할 때 상대방도 송금을 받았다는 것을 인증해 주는 것”이라고 하셨습니다. 만약, 상대방이 인터넷 뱅킹을 아예하지 않거나, 송금을 한 대상 계좌가 휴면 계좌인 경우에는 상대방이 송금 받았다는 사실을 어떻게 인증하나요?
2) 만약, 원장님이 말씀하신 것이 ‘돈이 중간에 어디론가 사라지지 않고 잘 도착했음을 증명하는 것’이었다면 돈이 한 곳에서 다른 한 곳으로 이체되었다면 시스템적으로는 해당 금액이 속한 계좌가 바뀌었지만 중간에 돈이 소실되거나 불어나지 않았다는 것을 관리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 것은 은행의 내부 시스템이 보장해야지 왜 이런 데 공인 인증서가 필요한 것인가요?
2. 현행 공인 인증서 제도가 과연 공인 인증서 덕분에 ‘부인 방지’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3) 비루한 네티즌인 제가 해석하기에 ‘부인 방지’는 특정 금융 거래가 이루어진 후 “이 거래는 니가 한 게 맞으니 나중에 딴소리 하지 말 것”이라는 것을 증명하는 것입니다. 그러기에 해당 거래의 당사자가 내가 맞는지 아닌 지를 증명할 무언가가 필요하고, 나의 신원을 전자적으로 증명해주는 수단으로 공인인증서를 사용하는 것일 테니까요. 그렇다면 현재의 공인인증서 방식은 첫째로 은행이나 쇼핑몰이 아닌 제3의 사이트로부터 특정인의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알아내기가 어렵지 않고, 둘째로 공인 인증서 파일이 모든 PC마다 동일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어(C:\Program Files\NPKI) 간단한 방법으로 취득 혹은 웹하드/이메일에 이를 보관하는 사람도 많아, 해킹 등을 통해서도 취득이 가능하며, 셋째로 공인인증서의 패스워드를 기타 포털 등에서 사용하는 사용자가 대다수를 차지함을 감안할 때, 악의적인 공격자는 인증서 파일을 입수하고 패스워드만 알고 있다면 특정인의 신분을 완전히 취득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런 경우 과연 공인 인증서가 ‘부인 방지’ 기능을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4) 아니면 “부인 방지”라는 것은 이 경우에 공인 인증서를 신뢰하기에 성립하는 것입니까? 아니면 패스워드를 해당 당사자만이 알고 있다는 전제 때문에 성립하는 것입니까?
3. SSL+OTP 가 공인인증서보다 취약한 보안 수단임은 어떻게 증명하실 수 있나요?
SSL은 공개키와 비밀키라는 두 개의 키를 통해 암호화와 복호화를 하는 암호화 통신 방법입니다. 여기서 ‘공개키’는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나누어 가지게 되고, 공개키를 통해 암호화한 데이터는 해당 교신의 당사자가 미리 인증한 비밀키를 통해 복호화하게 됩니다. 따라서 서로가 상대방을 인증한 상태라면 안전한 통신이 가능합니다. 이는 교신 방식에 대해서는 현재 플러그인으로 제공되고 있는 암호화 통신과 사실 상 다를 것이 없습니다.
5) 그렇다면 고작 사용자의 신원 정보 (id 와 패스워드)을 전송할 때만 암호화하는 현행의 방식이 안전한가요, 교신의 모든 내용을 암호화하는 https 통신 방식이 더 안전한가요? 제가 거래하고 있는 ‘ㅇ’은행은 한 번의 암호화 교신이 끝나고 나서 계좌 조회 등을 할 때는 해당 페이지를 http 프로토콜을 통해 암호화 하지 않고 내려 보내고 있습니다. 그 페이지 속에도 충분히 소중한 제 개인정보가 들어있는데, 누군가가 그런 정보를 중간에서 가로채어 도청할 수 있다는 사실이 너무나 찜찜하고 불안합니다.
6) OTP는 물리적인 별도 장치를 통해 실시간으로 변하는 1회용 패스워드를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즉 거래 혹은 교신에 필요한 보호 수단을 직접적인 통신에 의존하지 않는 장치를 도입하여 안전성을 높이고자 하는 보조 수단입니다. 이는 원천적으로 복제가 불가능하고 무작위로 키를 맞추고자하는 시도가 시간 제한이라는 벽에 부딪히기 때문에 보호의 강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도 있습니다. 게다가 가장 중요한 것은 “OTP가 없어지면 분실 혹은 유출의 위험을 사용자가 실제로 감지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OTP를 분실한 사용자는 해당 기기의 분실 신고를 통해 추후 발생할 지 모를 피해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기회가 한 번 더 주어지는 것지요. 자 그렇다면 특정한 고정된 위치에 전자적으로 보관되어 누군가 복사해가도 그 사실을 알 수 없는 공인인증서와 OTP 중에서 굳이 비교하자면 어느 쪽이 소비자를 보호하는데 조금이라도 더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십니까?
4. 정작 더 큰 구멍은 ‘플러그인이라는 배포 방식’에서 온다는 의견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7) 현재 은행에서 사용되는 온갖 보안 모듈들은 십분 양보하여 그 프로그램 자체의 효과를 완전히 신뢰할 수 있다고 가정하더라도, 윈도우 기반의 IE에서만 사용이 가능한 ActiveX를 사용해야 합니다. ActiveX를 사용자의 컴퓨터에 설치하려면 사용자는 시스템 전체에 대해 관리자 권한 (최고 권한)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ActiveX를 싫어하는 모든 이가 주장하듯이, 문제는 ActiveX 자체에 있는 것이 아니라 이런 ActiveX를 무조건 ‘예’를 눌러서 설치하라고 교육하는 모든 은행, 쇼핑몰, 공공기관 홈페이지 등에 있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인터넷 익스플로러는 물론이고 파이어폭스, 구글 크롬, 오페라 등 국내에서 어지간히 사용되고 있는 거의 모든 웹 브라우저들은 이러한 플러그인 없이도 자체적으로 인증서를 소프트웨어적인 보안 토큰에 저장하고, 이에 접근하여 암호화 통신을 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습니다. 현행 공인인증서를 통해 굳게 걸어 잠근 문 옆으로 큰 구멍으로 물이 새는 지금의 상황이 더 보안이 좋다고 보십니까? 아니면 사용자들이 웹 페이지가 사용자 시스템에 어떤 해로운 짓도 못하도록 거부하며, 적극적으로 KISA가 추구하는 국민의 권익 실현에 동참하는 표준 규격이 좋다고 보십니까?
8) 표준 규격의 보안 통신을 통한 인증과 암호화 교신은 저와 같이 리눅스를 사용하고, 윈도 환경에서도 파이어폭스를 주로 사용하는 ActiveX를 별로 만날 일이 없는 비루한 자들도 21세기적 문명의 혜택인 사이버 거래를 사용할 수 있게 합니다. 제가 개인적으로 윈도를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안타깝게도 OS 소프트웨어를 살 돈도 없기 때문입니다. 단지 OS 살 돈 몇 만원(인지 십 몇 만원인지는 모르겠습니다만)이 없는 불쌍한 사람들이 문명의 혜택을 못 받는 작금의 사태가 OECD 국가에서 벌어지는 사태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아니면 제게 윈도 라이센스 하나 선물 하실 의향은 없으신지 그것도 아울러 여쭈어 봅니다.
5. 공인인증서를 고집하는 것 보다 전 국민 대상으로 보안 교육 프로그램을 시행하실 생각은 없으신가요?
들리는 소문에 의하면 KISA에서 무료 백신 배포를 계획하신다는 이야기도 들립니다. 듣던 중 반가운 소식입니다. 그런데 문제는 안티바이러스들이 (‘백신’은 특정한 보안 업체의 상표명이므로 안티바이러스라는 표현을 사용하겠습니다.) 아무리 뛰어나다고 한 들, 더 중요한 것은 윈도 보안 패치입니다. 혹시 원장님께서도 모니터 오른쪽 하단을 가끔 주시하시는지 모르겠습니다만, 윈도는 자동 업데이트 기능이 있으며, 중요한 보안 패치나 기타 패치들이 발표되면 모니터 오른쪽 하단 시계가 있는 곳 즈음에 노란 방패 표시가 나타납니다. 그런데 제 주위에 많은 친구들은 이게 뭔지도 모르고 클릭해 볼 생각 조차 못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MS는 몇 년에 한 번씩 기존의 취약점 패치를 모두 모아모아 서비스팩이라는 이름으로 발표합니다. 그런데 우리 나라 언론들은 이상하게도 이런 서비스팩이 발표되면 호들갑을 떨면서 마치 대재앙이 오는 것처럼 나팔을 불어 댑니다. 네이버 지식인 같은 곳만 가도 ‘뭐가 안되면 서비스팩을 깔아서 그런거에요… 그걸 지우려면…’ 이런 위험하기 그지 없는 이야기들이 돌아다닙니다.
9) 전국민의 컴퓨터에 안티바이러스와 같은 보안 솔루션이 설치되는 것은 좋습니다. 하지만 전국민의 컴퓨터가 최신의 보안 패치를 통해 단순한 바이러스나 웜이 아닌 다른 악의적인 공격에 어느 정도 기초 면역력을 가질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은 어떨까요? KISA 홈페이지 구석탱이 조그만 배너나 혹은 홍보 예산 조금 쓰시거나 네이버와 같이 좋은 뜻이니까 이런 캠페인 한 번 벌이시는 것도 좋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위에서 말씀드린 ‘노란 방패’는 윈도XP 서비스팩 2때부터 적용되었습니다만, 여태까지 저는 저런 캠페인 한 번 본 적이 없어서 무지하게 안타까운 심정입니다.
드리고 싶은 말씀도 많고 묻고 싶은 것도 많지만 너무 길어서 이만 줄입니다. 바쁘신 와중에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답변 기다리도록 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희정입니다.
이곳 참 멋진 곳이네요
이메일 주소 부탁합니다.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주소는 전자우편으로 보내드리겠습니다만, 보통 블로그 상에서의 이러한 공개 질문의 경우에는 메일이 아닌 블로그에서의 포스팅으로 답변하는 방식이 일반적입니다.
핑백: Tweets that mention Wireframe » 20100410:: KISA 김희정 원장님께 문의 드립니다. -- Topsy.com
댓글이 닫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