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일러 프로젝트 69

오일러 프로젝트 69 번 문제는 오일러의 피(phi)함수에 관한 내용이다. 사실 소인수분해를 빠르게 할 수 있는 방법만 있다면, 오일러 피함수 역시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으나, 여기서는 범위가 1,000,000까지이므로 만만한 문제가 아닐 수 있다. 그런데 문제를 잘 파악해보면 의외로 쉬운 문제이기도 하다.

오일러의 피(phi)함수 φ(n)은 n보다 작거나 같으면서 n과 서로 소인 숫자의 개수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9보다 작거나 같으면서 9와 서로 소인 것은 1, 2, 4, 5, 7, 8이므로 φ(9)=6이 됩니다.

n 서로 소인 수 φ(n) n/φ(n)
2 1 1 2
3 1, 2 2 1.5
4 1, 3 2 2
5 1, 2, 3, 4 4 1.25
6 1, 5 2 3
7 1, 2, 3, 4, 5, 6 6 1.1666…
8 1, 3, 5, 7 4 2
9 1, 2, 4, 5, 7, 8 6 1.5
10 1, 3, 7, 9 4 2.5

위에서 보듯이 n ≤ 10인 경우 n/φ(n)의 값은 n=6일때 최대가 됩니다. n이 백만 이하의 자연수일 때, n/φ(n)는 언제 최대가 됩니까? (http://euler.synap.co.kr/prob_detail.php?id=69)

접근

사실 10,000 이하의 수에 대해서 이 값을 찾으라고 하면 피함수를 구현해서 찾으려고 했을 수도 있겠다. 하지만 백만 단위까지라면 사실 매우 단순한 함수를 백만번 호출하는 것도 단시간 내에 해결을 보기가 어려운 문제가 많다. 따라서 우리는 서로소에 대해서 좀 더 자세히 들여다볼 필요가 있겠다.
문제가 요구하는 것은 N에 대해서 N/phi(N)이 최대가 되는 N을 찾는 것이다. 분수식이기 때문에 분모는 작아야 하고, 분자는 커야 한다. 여기서 분모가 작다는 말은, N과 서로소인 수가 작다는 것이고, 이는 공약수를 갖는 수들이 많다는 것이다. (그리고 N은 백만을 넘지 않는 범위에서는 가장 커야 한다.)
공약수를 갖는 수가 많으려면 소인수의 개수가 많고, 중복되는 소인수가 적어야 한다. 이 조건에 의하면 N 이하에서 소인수를 가장 많이 갖는 수는 2 * 3 * 5… 의 식으로 연속된 소수의 곱으로 만들어지는 수여야 한다. (위 예에서도 보면 6, 10이 이 값이 크다) 따라서 문제의 답은 연속된 소수의 곱으로 만들 수 있는 수 중에서 백만을 넘지 않는 가장 큰 수이고, 이는 두 자리까지의 소수를 만들어서 백만을 넘기 전까지 곱해보면 된다.

result = 1
s = [False, False] + [True] * 99
for i in range(2, 11):
  if s[i]:
    s[2*i::i] = [False] * ((100 - i) // i)
for i in [x for x in range(100) if s[x]]:
  if result * i > 100_0000:
    break
  result *= i
 print(result)

소수체를 만드는 것도 이전에 많이 썼었고, 너무 간단한 계산만 하면 되는 코드라 Swift 코드는 생략하도록 하겠다.

부록 : Phi 함수

이 문제에서는 쓸 수 없었지만, 나름 괜찮은 성능의 phi 함수 구현체를 소개한다.

def factorize(n):
  def helper(a):
    if a in (1, 2): return a + 1 if n % (a + 1) is 0 else helper(a + 1)
    if a is 3: return 5 if n % 5 is 0 else helper(5)
    k, l, i = a + 2, n**0.5, 0
    ds = [4, 2] if k % 3 == 1 else [2, 4]
    while k <= l:
      if n % k is 0: return k
      k, i = k + ds[i], (i + 1) % 2
    return n
  a, result = 1, []
  while n > 1:
    a = helper(a)
    e = 0
    while n % a is 0:
      n, e = n // a, e + 1
    result.append((a, e))
  return result
def phi(n):
  if n < 4: return n - 1
  xs = [x[0] for x in factorize(n)]
  l = int(n**0.5 + 0.5)
  s = [False, True] + [True] * (n-1)
  for x in xs:
    s[x::x] = [False] * (n//x)
  return sum(1 for x in range(1, n) if s[x])

Read more

워드프레스에서 고스트로 이전

워드프레스에서 고스트로 이전

이 글을 쓰면서도 믿기 힘든 사실인데, 블로그라는 걸 처음 시작한지가 20년이 되었습니다. 이글루스에서 처음 시작했다가, SK컴즈가 인수한다고 발표함과 동시에 워드프레스로 플랫폼을 옮겼죠. 워드프레스오 옮긴 이후에는 호스팅 환경을 이리 저리 옮기긴 했지만 거의 18년 가까이 워드프레스를 사용해온 것 같습니다. 그 동안 워드프레스는 블로깅 툴에서 명실상부한 범용CMS로 발전했습니다. 사실 웬만한 홈페이지들은 이제

By sooop
띄어쓰기에 대한 생각

띄어쓰기에 대한 생각

업무 메일을 쓸 때 가장 많이 쓰는 말 중에 하나가 메일 말미에 ‘업무에 참고 부탁 드립니다.‘인데요, 어느 날부터 아웃룩에서 이 ‘부탁 드립니다’가 틀렸다고 맞춤법 지적을 하기 시작했습니다. 맞는 말은 ‘부탁드립니다’라고 붙여 쓰는 거라고. 사실 아래아한글 시절부터 이전의 MS워드까지, 워드프로세서들의 한국어 맞춤법 검사 실력은 거의 있으나 마나 한

By sooop

구글 포토에서 아이클라우드로 탈출한 후기

한 때 구글 포토가 백업 용량을 무제한으로 제공해 주겠다고해서, 구글 포토를 사용해서 사진을 백업해왔습니다. 물론 이 이야기의 결말은 저나 이 글을 읽고 있는 여러분이나 모두 알고 있습니다. 사실 AI에게 학습 시킬 이미지 데이터를 모으기 위한 것일 뿐이라거나 하는 이야기는 그 당시에도 있었습니다만, 에이 그래도 구글인데 용량은 넉넉하게 주겠지…하는 순진한

By sooop

Julia의 함수 사용팁

연산자의 함수적 표기 Julia의 연산자는 기본적으로 함수이며, 함수 호출 표기와 같은 방식으로 호출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또한 그 자체로 함수이기 때문에 filter(), map() 과 같이 함수를 인자로 받는 함수에도 연산자를 그대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특히 + 연산자는 sum() 함수와 같이 여러 인자를 받아 인자들의 합을 구할 수 있습니다. 2 + 3 # = 5 +(2,

By soo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