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건너뛰기
Home » 자모

자모

한글의 음소분리 문제

한글 문자열의 초/중/종성을 분리하는 예제를 포스팅한 적이 있는데, 이 때는 미처 알지 못했지만, 중요하게 놓친 문제가 있다. 그러니까 초/중/종성에 해당하는 자모와 각각의 낱자가 다른 글자라는 점이다.

예를 들어 ‘한'(U+D55C)자를 보자. 이 글자는 ‘ㅎ’, ‘ㅏ’, ‘ㄴ’ 의 세가지 자모로 분리된다. 이 때 ‘ㅎ’이 초성일 때와 종성일 때에는 같은 ‘ㅎ’으로 보이기는 해도, 같은 코드가 아니다. (그리고 지금 ‘ㅎ’으로 낱자로 쓰고 있는 이 글자 역시 같은 코드가 아니다.

‘ㅎ’을 표현하는 방식에는 다음 세 가지 방식이 있다.

  1. 낱자로서의 ‘ㅎ’ (U+314E)
  2. 초성 자모로서 ‘ㅎ’ (U+1112)
  3. 종성 자모로서 ‘ㅎ’ (U+11C2)

이는 유니코드에서는 완성형과 조합형 한글을 모두 지원하기 때문이다. ‘가’에서부터 ‘힣’에 이르는 자모로 조합가능한 모든 한글글자는 Hangul Syllables 블럭에 정의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Syllables를 조합하는데 사용되는 자모들은 모두 Hangul Jamo에 정의된다. 낱자로서의 자모는 Hangul Compatibility Jamo 에 정의되어 있다. 기존의 초성 구하기 코드에서 구하는 답은 자모 코드에 해당한다.

이 자모 코드는 기본적으로 서로 결합하여 완성된 글자(Hangul Syllables)를 구성하는데 쓰인다. 따라서 자모 문자의 코드값으로부터 문자를 얻어서 출력했을 때에는 각 자모 낱자의 출력결과와 구분할 수 없기는 하나 정확한 답이 아닌 것이다.

더 보기 »한글의 음소분리 문제